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신기술

현대기아차 “닛산이 틀렸다, 전기차 한참 멀었다”

현대차가 전기차에 대한 암울한 전망을 내놨습니다. 현행 기술 혹은 현재 예상할 수 있는 기술 발전 속도를 토대로 한 전망인데요. 우리나라 최고 기업의 인사이트가 이 정도라니, 투자도 이러한 전망을 토대로 이뤄지고 있다니 조금 실망입니다.

예상대로 하이브리드에 많은 돈이 들어가고, 그 다음은 수소연료전지차라고 합니다. 전기차 분야는 상대적으로 투자가 적다는거죠.

또 “전기차는 핵심기술이 배터리이기 때문에, 2030년 배터리에 최고 기술을 가진 일본에서 성능이 발전되고 가격이 낮춰진 배터리가 나올 때 까지 전기차 대중화는 요원하다”고 했습니다. 그 수동적인 태도가 마음에 안듭니다. 세계 최고 자동차 회사를 추구한다면 적어도 "전기차 시대에 걸맞는 세계 최고의 배터리를 우리 손으로 만들겠다"고 말하길 내심 바랬는데 말입니다.

200마일 달리려면 배터리가 900kg에 달하는데 어떻게 싣고 다니냐는 말도 합니다. 타사는 자동차 배터리 공유화 등을 통해 배터리 자동교체기술을 선보이고 있는데, 현대차는 도통 내연기관의 사고 방식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는겁니다. 세계적으로 손가락으로 꼽히는 자동차 기업인 현대차가 전기차를 밀어붙이지 않는다면 정말 전기차에 대한 미래는 암울할지 모릅니다.

남들이 만든대로 따라 만드는 전략에서 벗어나, 우리가 시장을 리드하고 게임을 새롭게 개편하는 터닝포인트로 전기차를 내세우기를 기대합니다.

아래는 오늘 다녀와 쓴 기사입니다.
 
---
현대·기아차 측이 "닛산의 전기차 개발 프로그램이 잘못됐거나, 개념을 잘못 잡고 있다"는 의견을 밝혀 논란이 되고 있다.

한국자동차공학회는 8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교육문화회관에서 ‘전기자동차 우리의 미래인가’라는 주제로 특별 워크숍을 가졌다.

이날 두 번째 강연자로 나온 현대·기아차 연구개발총괄본부 이기상 상무는 앞서 발표한 일본 닛산자동차의 가즈히로 도이 기술마케팅 총괄책임자의 전기차 상용화에 대해 “아마도 닛산의 프로그램이 잘못됐거나 전기차에 대한 개념을 잘못 잡고 있는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이 상무는 “전기차 배터리는 현행 가솔린에 비해 무게가 40배 이상, 부피가 14배 이상 크다”며 “200마일 넘게 달리는 차를 만들기 위해선 경차 한대 분량인 950㎏에 달하는 배터리를 싣고 다녀야 하는데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가격 또한 지나치게 비싸 닛산도 리프 같은 경차를 만들어 6000만원 넘는 가격으로 팔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전기차를 상용화하기 위해선 차세대 배터리의 생산이 필수적이라며 “일본에서 최근 범국가적으로 차세대 배터리를 1/40 가격에 성능은 7배 수준까지 올릴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며 “이 배터리가 상용화되는 2030년이 돼야 의미 있는 시장 점유율을 차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2020년까지는 단지 0.8%가량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봤다.

그는 또 이명박 대통령이 현대자동차 화성 연구소에서 논의했던 전기차 양산 계획에 대해선 2011년까지 총 생산 대수가 30대에 불과한 시험생산으로, 일반인들이 탈 수 있는 차는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는 “닛산 등 자동차 회사들이 전기차를 만드는 이유는 상업적으로 팔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하이브리드 기술이 없기 때문”이라며 “남들이 하지 않는 ‘전기차’를 내세워 기술 선도기업으로서의 마케팅 효과만을 노리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대기아차그룹은 현재 하이브리드에 가장 많은 연구개발비를 투입하고, 수소연료전지차에도 연간 1000억원 이상의 연구비를 지출하고 있지만, 전기차에는 별다른 연구비 투자가 없는 상황이다.

이 상무는 “전기차는 배터리가 좌우하는 화학 분야이기 때문에 자동차메이커에서 연구할 것이 별로 없다”고 말했다.

이날 그는 전기차의 경쟁 상대에 대한 질문에 “현재 전기차의 80% 이상이 전자에 소요되는 비용이므로 LG나 삼성 등 전자·화학 회사에서 차를 만들 가능성도 조사했다”며 “그러나 다른 업체들이 현대기아차의 바디나 샤시의 노하우를 따라 올 수 없다는 결과가 나왔다”고 말했다.

디젤 차량에 대해선 일본 노무라종합연구소에 의뢰한 연구 결과를 인용하며 “디젤차에 투입된 인원과 비용을 친환경차에 옮기는 게 적절하다”며 “다만 디젤차 자체의 재료비가 높아 제약조건이 있지만, 추후 연료비가 크게 높아진다면 디젤 하이브리드를 내놓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에 앞서 전날 현대기아자동차의 연구개발본부에서 디젤엔진을 담당하고 있는 김해진 전무는 클린 디젤엔진이 차세대 친환경 차량을 위해 필수적이라는 상반된 의견을 내놓은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