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서비스 아저씨에게 설명한다. "시청에서 남대문 방향 오시다보면 삼성본관 있는데, 거기 건너편에 1층에 엘지텔레콤 폰엔펀이라고 녹색 가게가 있어요. 거기 4층입니다."
삼성본관, 교보생명 사거리, 흥국생명사거리, 뱅뱅사거리...
이런 위치를 처음 듣는 사람이 지도에서 이 사거리를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은 거의 없다.
과거 우리나라에 차가 거의 없던 시절, 보행자는 자신이 찾아가는 건물을 설명하면 되었기 때문에 도로 이름을 알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한강 다리 이름부터 제1한강교, 제2한강교... 하는 식으로 소수의 운전자들만 기억할 수 있을만큼 복잡했다.
그러나 미국이나 캐나다 등 일찌감치 차가 보급된 나라에서 운전을 해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거리의 이름으로 길을 찾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할 것이다.
그 나라들은 사거리 표지판에 사거리 이름은 적지 않는 경우가 있어도 교차되는 양쪽 거리의 이름은 적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면 "웨스트민스터길에서 랍슨길 방향 좌회전" 하는 식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교보생명 사거리에서 한남대교 방면으로 가다가 왼편에 쌤소나이트가 보이는 곳에서 좌회전" 하는 식으로 모호하게 설명될 수 밖에 없다.
'길'은 길게 이어져 있어 한번 놓쳐도 다시 탈 수 있지만, 사거리는 한번 지나치면 다시 그 지점으로 돌아오기 전엔 도무지 융통성을 발휘할 수가 없다. 설명 받은 요소중 한개라도 모르면 거리를 마냥 헤메게 될 수도 있다.
사거리 이름을 외우는 것이 길 이름을 외우는 것에 비해 어려운 이유는 뭘까.
만약 도시에 길이 가로로 10개, 세로로 10개 있다면 길은 총 20개다. 그러나 각각의 길이 교차하는 사거리는 무려 100개가 만들어진다.
만일 4거리 이름을 적는 대신 길 이름을 적는다면 5배 이상 덜 혼동하게 되고 길을 잃고 헤메는 수도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