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처럼 프랑크푸르트 국제공항. 한때는 한달에 두번씩 이곳에서 운전했는데, 결혼하고 아이도 생기면서 뜸해져 이제야 다시 아우토반에서 가속페달을 짓밟아 줄 수 있게 됐다. 꼭 일년만이어서 기대가 컸다.
결국 빌린건 볼보 V40. 매우 좋은차지만 역시 자동은 자동이었다. 나는 왼발이 있는데 이게 운전하는 동안에는 아무짝에 쓸모없는 귀찮은 존재여서 거추장스럽기만 했다. 오른팔도 뭐 출발할때 한번쯤 존재를 확인할 뿐 이후에는 뭐하러 달렸나 싶은 생각도 든다. 그냥 멀쩡한 몸 일부를 퇴화 시키는거다.
수동을 말하자면, 클러치를 밟았다가 "팅"하고 튕겨내는 느낌, 기어를 집어 넣을 때마다 유럽차 특유의 척척 들어맞는 기계적인 느낌, 내가 운전을 잘하는구나라는 뿌듯함. 온몸이 유기적으로, 적절한 타이밍을 맞춰 리드미컬하게 춤 추듯 운동하고 있는, 빨리 달리고 싶을때는 내 몸도 바쁘고 빠르게 씩씩 대며 움직여서, 말하자면 자동차와 하나 된 느낌, 내가 가장 중요한 부품이 되어 착착 움직이는 기분이 든다.
대체 왜 우리가 자동변속기를 빌려야 하는거야. 내가 묻자, 후배 김상영 기자는 "요즘 누가 수동변속기 써요. 포르쉐도 안만들고 페라리도 람보르기니도 이제 수동변속기 안만들어요"란다. 아니 그건 더 빨리 달릴려고 듀얼클러치를 다는거지. "수동변속기는 낡아빠진거예요. 사람들이 무시해요." ... 할말을 잃었다. 세상이 이렇게 변했나. 이 멋진 과정을 재미 없어 한다니.
지난해 금호 렌터카 창구에서 목격한 장면은 더 충격적이었다. 대학생으로 보이는 예닐곱명이 가위바위보를 하더니 한명이 괴로운 표정을 짓는다. 모두 왁짜지껄 기아 카니발의 뒤에 타고 그 한명이 운전석에 앉았다. 운전하는게 벌칙이라는 모양이다. 세상이 어떻게 돼가는건가. 우리 때는 다들 운전하려고 가위바위보를 했다. 요즘 대학생들은 믿지 않겠지만.
우리 세대를 지나면서부터는 더 이상 자동차에는 관심이 없는 듯 하다. 자동차란 이동수단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그런 귀찮은 존재가 되어가고 있다.
원인은 자동차 회사 스스로에게 있다. 경제적, 친환경, 저연비, 운전 편의성, 편리하고, 많이 실리고, 저소음, 전자식 핸들... 요즘 우리 자동차 회사들이 신차를 내놓으면서 등장하는 홍보 중 대체 그 어떤게 쿨하고 매력이 있나. 경제적이어서, 짐이 많이 실려서, 연비가 좋아서 차에 반할 수 있을까?
현대차는 '감성'이 부족하다고 한참 지적 받더니 마치 감정이나 분위기 잡는게 '감성'인걸로 착각하고 '쏘나타는 원래 그렇게 타는 겁니다'라는 역사상 최고로 오만한 광고 문구를 내놓기도 했다. 자동차에서 '감성'이란 달리는 박진감, 그게 심장을 울리는 느낌, 차와 대화를 나누는 것 같은, 차가 마치 나의 연인인 것 같은 느낌을 받도록 하는 것이지 차 유리창에 맺힌 물방울을 보고 청승에 빠지거나 오디오 소리를 끝까지 올려 민폐를 끼치는게 감성이 아니다.
그럼에도 차는 잘 팔려왔다. 경제적이라고, 성능 좋다고, 자동차 기자들도 파악할 수 없는 수많은 숫자의 나열로 그런가보다 하면서 샀다. 맨날 똑같은 차를 내놓으니 차는 다 이런건가 싶게 만든다. 기자들도 기껏 신차발표회에 가도 쓸 말이 없어 기운이 빠진다.
아이가 잘 받아먹는다고 세살 넘어서도 줄곧 분유만 먹이는 부모는 없다. 그런데 우리 자동차 회사들은 그저 순간 팔릴 차를 만드는데 급급해 소비자들이 바로 필요하다는 차만 잔뜩 찍어냈을 뿐, 그 외에는 만들지도, 도전하지도 않았다. 그러나 소비자들은 차를 만드는 사람들이나 연구 개발하는 사람들이 아니고, 자신들이 어떤 차를 원하는지조차 그 차가 나오기 전까지는 알 수가 없다.
국내 시장 80%를 차지하는 제조사가 내놔야 그게 어떤건지 알지. 내놓지도 않고 '한국 소비자들이 큰차에 힘없는 엔진을 좋아해서...' 어쩌고 저쩌고. 그러더니 수입 디젤 소형차의 맛을 알아버린 소비자들에게 뒤늦게 '우리도 디젤 있다'면서 러브콜을 날리지만 때는 늦었다.
결국 뻔한 차만 계속 내놓던 자동차 회사들이 이제는 소비자들의 외면에 직면했다. 벌써 몇년째 내수 침체라는지 모르겠다. 하지만 이건 일시적인 침체가 아니라 젊은 세대가 더 이상 차를 좋아하지 않기 때문에 벌어지는 끝없는 침체다. 모든게 우리 자동차 회사들의 자승자박이다.
'자동차 흥미꺼리 > 취재 뒷담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진일기] 시트로엥 C4 피카소 출시행사장 (1) | 2014.03.27 |
---|---|
美도 주목한 '현대차, 신형 쏘나타 연비 오류 사과문' (7) | 2014.03.18 |
나는 수동변속기가 싫어요? 아, 섭섭한 세상 (12) | 2014.03.14 |
전기차 쏘울EV를 시승했습니다(2)...기아차 설명 듣다보니 '답답해' (3) | 2014.03.13 |
전기차 쏘울EV를 시승했습니다(1)...쏘울EV를 자세히 보다 (0) | 2014.03.13 |
요즘은 자수하는게 유행이라기에...그래요 저 과속했어요 (3) | 2014.03.10 |
정부는 기름에 붙은 세금 많이 걷어서 좋고,
자동차 회사는 비싼 자동 변속기 차량 팔아서 좋고...
제 개인적 생각은... 저탄소차지원금 제도보다는...
자동변속기 차량에 세금을 더 메기고, 그렇게 메긴 세금을 수동변속기 차량에 보조금으로 지원했으면 좋겠습니다.
현대는 그저그런 아반테와 소나타 외에는 별 볼일 없는 회사입니다. 아차싶은지 이제와서 강성에 주행성능을 강조해봤자 버스는 진즉에 떠났고... 자동차 블로거들은 날마다 수백종의 수입차 출고기를 줄줄이 써대고 덕분에 포르쉐 페라리 마세라티 가 친근하게 다가오고 비엠 아우디는 고민조금하면 당장이라도 잡힐듯한 이때 현기소식은 신차출시때 외엔 거의 없는실정입니다. 물론 현기의 신차가 나온다해도 외양만 그럴싸한 비실이 임은 당연한걸테고.
수동 감성팔이 ㅋㅋ
운전쫌 한다는 허세ㅋㅋㅋㅋ
쩐다 ㅋㅋㅋㅋㅋㅋㅋ
하모니는 제정신인가... 글 어디에 자기가 운전좀 한다고 자랑한다고 써놨는지 얘기 좀 해보시지.
차 좋아하는 사람이기에 변속감을 즐긴다는거지 그걸 허세라고 ㅋㅋㅋㅋㅋㅋ 참나
수동면허는 갖고나 있고 말하나??
짬뽕을 좋아하던 짜장을 좋아하던
당신이 뭔데 사람의 취향을 무시하는 거야?
말 하는거는 ㅄ 같이 하면서 닉네임은 말도 안되는 안하모니네
운전이 삶과 업의 일부가 된 시대다 보니
피로감이 한결 덜 한 자동 변속기가 대세가 되는 것은 이해하지만
운전 자체의 즐거움은 역시 수동 변속기가 훨씬 크게 준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점점 수동 변속기가 장착된 차종 자체가 사라지고 있네요.
'수동' 변속기 차량을 정말 좋아하는 사람으로 참 안타깝습니다.
글에 상당히 공감합니다...수동 변속차를 13년(엑센트7년 SM520 6년)몰다 08년에 TG 를 새로 뽑아 지금껏 타고 있는 사람입니다..자동변속기를 몰면서 부터 차가 재미가 없어졌습니다. 차와 내가 하나가 되는 느낌....다시 한번 그런 느낌을 가져 보고 싶네요...
아.. 글 잘쓰신다!!
지금 몰고 있는 자동 아반테를 사기 전에 아버지의 수동 쏘2를 가끔 몰았던 기억이 납니다. 그때는 오르막에서 밀리고, 차 막힐땐 귀찮고 했는데, 기자님 글을 읽고 나니 옛날 수동 손맛이 그립네요. 소나타는 달리는 맛이 아니라, 세워놓고 음악듣는 용도라니. 그게 자동차회사가 하는 광고가 맞는지. 솔직한 건지 어이없는 건지 잘 모르겠지만.
관리자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는 댓글입니다
관리자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는 댓글입니다
자동변속기가 아무리 발달한다 한들 수동기어가 주는 운전재미는 절때 따라올 수 없지요.. 모든 수동변속기 승용차가 단종된다면 차라리 포터를 사서 타고 다닐 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