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국제 모터쇼 누가 살렸나…국산 브랜드의 힘
현장취재/각종 국제모터쇼2010.05.10 15:00
어제(9일)부산국제 모터쇼가 폐막했습니다. 2010 부산국제모터쇼는 개막 전부터 참 많은 분들이 우려와 걱정을 해주었지요.
수입차들이 참여하지 않아 이번에는 안방잔치로 전락할 것이라는 우려도 있었고, 수입차 없는 모터쇼 누가 보겠냐는 걱정도 있었습니다.
한겨레:
부산국제모터쇼 '안방잔치' 되나
조선일보: 부산모터쇼는 名車들 빠진 '안방잔치' 되나
서울경제: '반쪽' 행사가 된 부산국제모터쇼
하지만 정작 모터쇼를 개막하고 보니, 국내 언론들이 기사를 내는 분량은 이전 부산모터쇼에 비해 오히려 늘어난 듯 합니다.
관심 없을거라던 해외 언론들도 부산모터쇼에 관한 기사를 내보내느라 부산을 떨고 있습니다.
구글에서 BUSAN MOTOR SHOW 2010으로 검색하면 무려 12만건이 넘게 나오네요.
중앙일보 : 신차의 향연 … 부산국제모터쇼 팡파르
다양한 수입차가 출품됐을 때보다 오히려 더 많은 인기를 끌고 있으니 참 놀랄일입니다.
갑자기 부산국제모터쇼가 어째서 살아나게 됐을까요?
개인적으로는 현대와 기아의 공이 크지 않은가 생각합니다. 이번 부산 모터쇼에서 아반떼와 K5등 신차를 내보였기 떄문입니다. K5는 뉴욕에서 선보인 이후 첫 공개라서 관심을 모았을겁니다.
국산 브랜드의 힘
이번 모터쇼에서 국내 최초로 공개된 K5가 불러온 파급력이 얼마나 대단한지는 더 말할 나위도 없을 겁니다.
다른 기사에서 보니 "관람객들이 모터쇼 입구의 수입차 브랜드를 제치고 안쪽에 있는 기아와 현대 부스로 달려갔다"고 쓰여있더라구요. 정말 그랬을 것 같습니다.
이날 첫 공개가 이뤄진 K5의 임팩트가 너무 강해서 다른 전시는 잘 보이지 않았는데, 가만 보면 다양한 볼거리를 마련해두었습니다. 전시장 주변까지 살펴보지 않는 관람객이 많아 아쉬웠습니다.
우선 3D안경을 쓰고 입체 화면을 통해 K5의 공개를 지켜봤습니다. 효과도 대단히 좋았지만, 집중할 수 밖에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었습니다. 이처럼 집중한 기자들을 보신적 있으신지. ^^;;
기아차는 K5의 풀 하이브리드 절개모델을 내놨습니다. 풀 하이브리드가 국내 전시되는건 이게 처음인데요. 저속에서는 전기모터만으로 달릴 수 있게 하는 등 세계적으로 몇 안되는 기술을 선보인 겁니다.
기아차는 이번에 남아공월드컵 공식 후원사이니만큼 월드컵 관련한 내용으로 부스 일부를 꾸몄습니다.
차에도 남아공 월드컵의 심볼과 마스코트가 그려져있죠. 실제로 현대차와 기아차는 남아공에 차량을 지원합니다.
이 알록달록한 쏘울은 어떤 선수가(혹은 관계자가) 타게 될지 궁금해지는군요.
사실 일부 언론에서는 '안방잔치'라는 진부한 표현을 하고 있는데요. 이 표현은 부산국제모터쇼와 전혀 걸맞지 않지요. 수입 제조사들이 들어와 한국 소비자들을 구경시키는 경우라면, 그걸 바로 '안방잔치'라 할텐데, 이번에는 반대로 우리가 만든 차를 외국인들에게 보여주는게 주된 행사였으니 안방잔치 아니라 바람직한잔치 아닌가 싶습니다.
다음글에선 다른 제조사들의 부스도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현장취재 > 각종 국제모터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0파리모터쇼] 정의선 "기아차 좀 더 열심히 해야" (0) | 2010.10.04 |
---|---|
파리모터쇼 - "아끼면 똥된다" (0) | 2010.10.04 |
부산 국제 모터쇼 누가 살렸나…국산 브랜드의 힘 (10) | 2010.05.10 |
부산국제모터쇼 다녀와보니 …세계에 이런 모터쇼 또 없어 (8) | 2010.05.07 |
부산모터쇼 쌍용자동차부스 자동차모델들과 레이싱모델들 (4) | 2010.05.04 |
서울 모터쇼 10대 차종, 우리가 뽑아보니 (3) | 2009.04.16 |
기아는 저 기아마크 어떻게 좀 세련되게 할 수 없는걸까? 돌아다니는 K7 뒤에 KIA 붙어있는거 보면.. 멋진차 만들어놓고 참.... 싶던데
피터슈라이어가 좋아하신대. -_-;;
저 블랙 바탕을 빼는것도 고려했는데, 피터 옹이 반대하셨다는군.
헉.. 정말요? 의외네..
GM대우 돼지코 이후로 사람들이 별로라고 하는게
기아 마크인거 같던데욤.
시각이 다른건가.
슈라이어..참 알수없는 감각이네..ㅋㅋ
어떻게 저 기아마크가 괜찮다고 할 수 있는거지.ㅋㅋ
정말 부산모토쇼에 해외에서의 관심이 컸던가요?
그렇다면 다행입니다만, 왜 독일에선 콧배기도 안 보이는지 정말 울화통이 터지다 못해 비참한 기분까지 들더군요.
베이징모토쇼 소개는 난리도 아니던데...아무리 자국차들이 대거 중국시장에서 사활을 건 싸움질을 한다고는 해도
이렇게 한국 모토쇼에 대해 사진 한 장 취급 안 하는 독일 자동차 잡지들....속 상하더군요.
독일만의 경우라면 다행이고, 기자님 말씀처럼 관심의 폭이 세계적이었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유럽에서는 이번에 발표된 K5와 아반떼를 관심있게 보지 않는것 같습니다. 그동안 현대와 기아가 북미를 위한 세단형 승용차 만들기에 전념했기 때문에 그런것 같습니다. 유럽에서 기아차라면 사실 쏘렌토나 스포티지 같은 SUV 밖에 안보이더라구요.
최근 미국 시장이 어려움을 겪으면서 유럽시장의 고마움을 여실히 느꼈던 우리 자동차 회사들이 유럽형 차량(웨건형)들을 속속 만들고 있는것 같던데, 제대로 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겠지요.
사실 일부 언론에서는 '안방잔치'라는 진부한 표현을 하고 있는데요. 이 표현은 부산국제모터쇼와 전혀 걸맞지 않지요. 수입 제조사들이 들어와 한국 소비자들을 구경시키는 경우라면, 그걸 바로 '안방잔치'라 할텐데, 이번에는 반대로 우리가 만든 차를 외국인들에게 보여주는게 주된 행사였으니 안방잔치 아니라 바람직한잔치 아닌가 싶습니다.
일부 언론에서 표현한 '안방잔치'에 대해서 약간 잘못 이해하시는것 같군요.
언론에서 이렇게 말한 이유는 본래 세계 많은 자동차 업체와 우리나라 업체들이 자사의 자동차 기술력을 뽐내는 자리가 바로 국제 모터쇼 입니다. 하지만 이번에 부산국제모터쇼에 참가한 해외 업체는 극소수죠. 다들 아실껍니다.
그러니 자연히 전시되는건 국내 완성차 업체들 뿐이고 이걸 안방잔치라 표현한거죠. (이름은 국제모터쇼인데 대부분이 국내업체들 뿐이니..)
기자님이 글 쓰신건 다만 이 상황을 돌려서 좋게 말한것 뿐 . . 외국인들에게 보여주는게 주된 행사가 아니라 어쩔수 없이
그럴수 밖에 없게 된것이지요 . . 외국인들도 많이 온건 아니지만 . .
외국인들에게 보여주기 위한 모터쇼라면 해외 모터쇼에 투자를 해야겠죠 ?? 우리나라에서 이럴게 아니라..
또한 업체 공모기간이 다 됐음에도 참여하는 해외 업체들이 없어 몇번이고 연장하고 혜택을 걸었음에도 결과는 이정도이니..
말그대로 안방잔치였죠 . .
이름은 국제보터쇼이지만 보이는건 국내업체들이 대다수..
그래도 다행인건 이번에 우리나라 업체들에서 그동안 기대하고 있던 다양한 신차들을 전시해서 좋은 구경거리를 제공해 주었죠..
지당한 말씀이십니다만, 그게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해외 국제모터쇼는 사정이 좀 다른가 살펴보면, 그렇지 않습니다. 세계 5대모터쇼를 제외하면(포함해도) 대부분 자국의 차량들이 주를 이룹니다. 수입차들은 양념 정도로 들어오는게 일반적이죠.
독일이나 프랑스, 미국, 중국 등의 큰 시장은 그 시장에 판매하기 위해 해외 메이커가 들어오는 경향이 크고, 스위스 등은 자동차 열강의 중심이라는 지리적 특성상 외국 기업들이 많이 들어옵니다.
하지만, 맛이간 일본시장과 성장중인 한국시장은 미국이나 중국의 1/10에도 못미치는 정도니 일본과 한국시장을 위해 신차발표를 하는 외국기업은 아마 없겠지요. 설령 일부 외국기업이 나오더라도 신기술 발표나, 별다른 노력도 없이 그저 구색 맞추기에 지나지 않을겁니다.
그렇다고 우리 모터쇼를 안방잔치라고 비난할 필요는 없는것 같습니다. 우리의 기술력이 세계 손님들을 끌어모을 정도가 되면 말이죠. 실제로도 어느 정도 그렇게 돼가고 있구요.
그런데 이런 모토쇼에 나오는 차의 경우 바퀴의 크기를 실제와 다르게 하여 사람들을 현혹시키는 효과도 있는거 같습니다.
위의 쏘울 오픈카의 경우 바퀴가 기존의 쏘울보다 커보이네요..
만일 기존의 쏘울처럼 작은 바퀴라도 저런 분위기가 나올까요?
쏘울스터 제가 원하는 스타일입니다..우와..